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는 전라남도에 소재한 유형문화재 중 201호부터 300호까지 지정된 목록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불교 유물, 서원 유물, 기타 유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불교 유물로는 불상, 불화, 불서, 부도 등이 있다. 서원 유물은 목판, 고문서, 필사본 등이 지정되었고, 기타 유물로는 비석, 마애불, 정자, 지도, 고문서 등이 있다. 이 문화재들은 전라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목록 (제201호 ~ 제300호)
2. 1. 불교 유물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유물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육경합부(201호), 언해판화관계불서(202호), 진언·의식관계불서(203호), 선종불서(204호), 경전불서(205호)가 있다. 이 유물들은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소장되어 있다.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조삼신불좌상(208호)은 1999년 2월 26일 지정되었다가 2003년 6월 26일 해제되어 영광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 제1377호)으로 승격되었다.
진도 쌍계사에는 목조삼존불좌상(221호)과 시왕전목조지장보살상(222호)이 있으며, 1999년 8월 5일에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이다.
강진 백련사에는 원구형부도(223호)가 있으며, 1999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이다.
고흥 능가사에는 목조사천왕상(224호)이 있으며, 2000년 6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이다.
나주 불회사에는 원진국사부도(225호)가 있으며, 2000년 6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이다.
영광 불갑사 사천왕상 복장 불서(226호)는 2000년 6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06년 4월 28일 해제되어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보물 제1470호)으로 승격되었다.
해남 서동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227호)은 2000년 12월 13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6월 21일 해제되어 해남 서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 제1715호)으로 승격되었다.
목포 달성사에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228호)과 목조지장보살반가상(229호)이 있으며, 2000년 12월 13일에 지정되었다. 소재지는 목포시 죽교동이다.
영광 설매리 석조불두상(230호)은 2001년 6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영광군 군남면 설매리에 있다.
영광 불갑사에 소장되었던 불서들은 2001년 6월 5일에 지정되었다가 2006년 4월 28일 해제되어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보물 제1470호)으로 승격되었다., , , , , , , , , , , , , , ,
화순 쌍봉사에는 대웅전목조삼존불상(251호)과 극락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252호)이 있으며, 2001년 6월 5일에 지정되었다., 화순 쌍봉사 지장전 지장보살상 일괄(253호)은 2001년 6월 5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11월 1일 해제되어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제1726호)로 승격되었다.
순천 송광사에는 응진당(254호)이 2001년 6월 5일에 지정되었고, 보조국사감로탑(256호)이 2001년 9월 27일에 지정되었다., 순천 송광사 화엄탱화(257호)는 2001년 9월 27일에 지정되었다가 같은 날 해제되어 송광사화엄전화엄탱(보물 제1366호)으로 승격되었다.
영광 연흥사 목조삼세여래좌상(258호)은 2002년 7월 13일에 지정되었으며, 영광군 군남면 육창로에 있다.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259호)은 2002년 11월 27일에 지정되었으며,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에 있다.
나주 운흥사 지금동여래입상(260호)은 2003년 5월 27일에 지정되었으며, 나주시 다도면 암정리에 있다.
순천 선암사 금동관음보살좌상(262호)은 2004년 9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에 있다. 순천 선암사 대각암 동종(263호)은 2004년 9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10년 10월 25일 해제되어 순천 선암사 동종(보물 제1558호)으로 승격되었다.
고흥 능가사에는 추계당 및 사영당 부도(264호)가 있으며, 2004년 9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나주 불회사 소조보살입상(267호)은 2005년 1월 27일에 지정되었으며,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에 있다.
곡성 도림사에는 보광전목조아미타삼존불상(271호)이 있으며, 2005년 7월 13일에 지정되었다.
곡성 당동리 석조여래좌상(272호)은 2005년 7월 13일에 지정되었으며, 곡성군 죽곡면 당동리에 있다.
화순 운주사에는 와형석조여래불(273호), 광배석불좌상(274호), 마애여래좌상(275호), 칠층석탑(276호), 쌍교차문칠층석탑(277호), 석조불감앞칠층석탑(278호),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279호), 대웅전앞다층석탑(280호), 칠성바위앞칠층석탑(281호), 발형다층석탑(282호)이 있으며, 2005년 7월 13일에 지정되었다., , , , , , , , ,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283호)은 2005년 7월 13일에 지정되었다.
순천 향림사 동종(287호)은 2006년 12월 27일에 지정되었다.
장성 백양사에는 극락보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289호), 각진국사복구진영(290호), 극락전아미타회상도(291호)가 있으며, 2008년 4월 11일에 지정되었다., ,
강진 청자박물관 소장의 청자상감운학국화문개합(293호)과 청자상감‘王’명잔탁(294호)은 2008년 8월 5일에 지정되었다.,
순천 선암사 불조전(295호)과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296호)은 2008년 9월 19일에 지정되었다.,
나주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298호)은 2008년 12월 26일에 지정되었으며,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에 있다.
여수 흥국사에는 삼장보살도(299호)와 제석도(300호)가 있으며, 2009년 3월 20일에 지정되었다.,
2. 1. 1. 불상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중 불상 부분은 자료가 없습니다.
2. 1. 2. 불화
불화는 탱화, 변상도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아미타회상도, 지장보살도, 삼장보살도, 신중탱화, 응진당 불화 등 다양한 주제의 불화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화들은 주로 사찰의 대웅전, 극락전, 응진당 등에 봉안되어 있다.
2. 1. 3. 불서
경전, 의식, 진언, 선종 불서 등 다양한 종류의 불교 서적이 지정되어 있다. 목판, 필사본, 언해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불교 사상과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 1. 4. 부도
부도는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하는 묘탑으로, 전라남도에서는 원구형, 감로탑 등 다양한 형태의 부도가 지정되어 있다. 이 부도들은 고승의 사리나 유골을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으며, 불교 건축과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 2. 서원 유물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과 출판 활동을 보여주는 목판, 고문서, 필사본 유물들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목판
전라남도 지역 유학자들의 문집, 실기, 유묵 등을 새긴 목판이 다수 지정되어 있다. 이 목판들은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과 출판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서지학과 인쇄술 연구에도 활용된다.
; 고문서
담양 모현관 소장 고문서(제265호) 등이 지정되어 있다.
; 필사본
영광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 건거록(간양록) 등 문적일괄(제288호) 등 필사본이 지정되어 있다. 희귀한 서적의 내용을 보존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며,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 유물들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 서원의 교육 활동,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임진왜란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기록은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2. 2. 1. 목판
전라남도 지역 유학자들의 문집, 실기, 유묵 등을 새긴 목판이 다수 지정되어 있다. 이 목판들은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과 출판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서지학과 인쇄술 연구에도 활용된다.
2. 2. 2. 고문서
고문서 자료는 지정번호가 없다.
2. 2. 3. 필사본
건거록(간양록) 등 필사본이 지정되어 있다. 희귀한 서적의 내용을 보존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며,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 3. 기타 유물
전라남도에는 화순 동복 남덕원비, 구례 사성암 마애여래입상, 담양 척서정, 영암 부춘정, 하백원의 만국전도와 동국지도, 나주 금성정의록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지정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